21.3 C
Seoul
수요일, 5월 31, 2023

힘들어서 기피한다는 거짓말

19일 0시에 입력된 동아일보의 사설에는 "힘들고 보상이...

“서민 코스프레” 평가 억울하다는 김남국

김남국 의원이 자신을 향한 "서민 코스프레"라는 평가가...

위험한 발상

김남국 의원이 지난 22년 갑자기 60억 상당의...

의석수의 증가

논설칼럼의석수의 증가

선거제도 개혁에 대한 논의가 점점 본격화되고 있다. 그런데 지난 22일 자문위원회가 국회의장께 제출한 3개의 개혁안 중 두 개 안이 의석수를 50석이나 늘리는 내용을 담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세간에는 많은 의견이 존재해야 그 의견들을 반영했을 때에 더 좋은 방향으로 갈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 하지만 많은 의견을 만들기 위해서 국회의원의 숫자를 무한정으로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자문해봐야 한다. 현행 300명은 수렴하여 좋은 의견을 만들기에는 부족한 인원일까? 350명은 그렇다면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충분한 숫자일까? 도대체 그 기준은 어떤 이론이나 사실에 근거한 것일까? 2022년에 한 기관이 28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장 신뢰받지 못하는 직업으로 정치인이 1위로 꼽혔다. 우리나라만 조사해도 다른 결과가 나올 것 같지는 않다. 이렇게 신뢰받지 못하는 직업인 정치인들이 모여 자리를 50개 늘린다면 우리 국민께서 어떻게 생각하겠는가?

과연 국민께서 정치인들이 더 좋은 정치 더 좋은 토론을 하기 위해서 의석수를 늘린다고 생각할까? 아닐 것이다. 대부분은 정치인들이 자신들의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의석을 늘렸다고 생각할 것이다. 실제로 2019년에는 한 여론조사에서 의석수 반대 의견이 79%나 나왔다. 정치 개혁은 분명 필요하다. 의석수 변화, 논의해볼 만한 주제이다. 하지만 정치는 '민의'를 대변하는 분야다. '민의'가 밥그릇 챙기기로 보는 방향이라면 정치인이 감히 밀어붙일 수 있는 길인지 묻고 싶다.

Check out our other content

위험한 발상

Z8 스펙 루머 정리

2차 가해

선택의 순간

Check out other tags:

Most Popular Articles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